(재)플랜한국위원회 ㅣ 대표자 이상주
사업자등록번호 : 110-82-07378
주소 : (13494)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판교역로 231, H스퀘어 S동 912호
대표전화 : 1544-3222
이메일 : plan_d@plankorea.or.kr

더 이상 지진의 안전지대가 아닌 우리나라.
만약 학교에서, 집에서, 혹은 직장에서 갑자기 지진이 난다면? 머릿속에 어떤 장면이 떠오르시나요? 갑작스러운 상황을 맞닥뜨리면 누구나 당황할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나와 우리 가족의 안전을 위해 지진 발생 기본적인 행동요령을 익혀 두어야 합니다. 이 요령들은 당황한 순간에도 바로 떠올릴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숙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 단계별 대피요령 🚨

①튼튼한 탁자 아래로 들어가기
– 지진으로 크게 흔들리는 시간은 길어야 1~2분 정도입니다. 흔들림이 완전히 멈출 때까지 탁자 다리를 꼭 잡고 몸을 보호하며 기다려야 합니다. 바로 피할 곳이 없다면 방석이나 가방으로 머리를 보호하세요.
②가스와 전기를 차단하고 문을 열어 출구 확보하기
③계단을 이용해 밖으로 대피하기
– 건물 밖으로 나갈 때에는 엘리베이터를 타지 말고 계단을 이용해 신속하게 이동합니다.
④건물, 담장에서 멀리 떨어져 이동하기
⑤운동장, 공원 등 넓은 공간으로 대피하기
– 주변 가까운 곳에 넓은 공간이 없다면 최근에 지은 튼튼한 건물 안으로 들어가서 몸을 보호합니다.
❗ 필수 안전 상식! 생활 속 지진 대피
갑작스러운 지진 상황으로 당황스럽기 때문에 행동요령을 하나씩 생각하기에는 매우 어려울 것 이라고 생각드는데요.
지진 발생 시 아래의 행동요령을 필.수.적으로 기억하세요!

❤ 촛불이나 라이터 등 화기를 사용하지 않는다.
-가스 누출로 인해 폭발이나 화재 발생의 위험성이 있으므로 반드시 손전등을 사용해야 합니다.
❤ 주위 물건을 함부로 만지지 않는다.
– 끊어진 전선과 같은 훼손된 물건에 의해 사고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이어폰 사용을 자제한다.
– 통화나 뉴스 청취 등의 목적이라도 위험합니다. 소리를 듣고 반응해, 당장의 상황에 집중해야 합니다.
❤ 화장실, 욕실에 있다면 거울에서 멀리 떨어져 이동한다.
– 전구, 거울 등 유리로 된 물체의 파손으로 다칠 수 있습니다.
❤ 겨울에는 추위에 대비한다.
– 재난 상황에서 추위에 대비해 두꺼운 옷이나 휴대용 난로 등을 준비해야 합니다.
❤ 갇혔을 때에는 주변의 딱딱한 물건을 이용해 구조 요청을 한다.
– 고립된 상황에서 소리를 지를 경우 체력이 빨리 소진될 수 있어, 소리를 낼 수 있는 물건으로 구조를 요청해야 합니다.
일단 대피했다고 모든 상황이 끝난 건 아닙니다. 아직 해야 할 행동들이 남아 있습니다. 혼란한 상황 속에서 2차 사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차분한 대처가 필요합니다. 일단 대피했다면 아래의 대피 후 행동 요령에 따라 2차 사고에 대비해야 합니다.
⛑ 대피 후 행동 요령

🧡 부상자가 있으면 즉시 구조 요청을 한다.
흔들림이 멈춘 뒤 주변에 부상자가 있는지 둘러봅니다. 부상자가 있으면 이웃과 협력해 응급 처치하고 119에 신고합니다.🧡 상황 정보를 확인한 뒤 귀가 여부를 결정한다.
주택에 피해가 없는지 확인한 뒤 귀가해야 합니다. 이때, 흔들림이 멈췄다고 스스로 귀가를 결정해서는 안 됩니다. 라디오 및 주변 공공기관이 제공하는 정보에 따라 행동해야 합니다. 지진 상황에서는 통신기기 사용이 폭주해 일시적인 장애가 발생할 수 있으나 당황하지 말고 침착하게 정보를 파악하도록 합니다.
🧡 귀가 후 안전에 유의해 주변을 확인한다.
가정이나 사무실로 돌아가서는 피해 상황을 확인합니다. 안전이 의심된다면 전문가의 확인을 요청합니다. 옷장이나 사무실 보관함 등은 성급히 문을 열다가 내용물이 쏟아져 부상을 입는 경우가 있으므로 특별히 주의해야 합니다.
🧡 올바른 정보를 확인한다.
여진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지역방송 등이 제공하는 정보에 관심을 기울이며 대비해야 합니다.
🚩 안전한 지진대피소 미리 파악하기

지진대피소는 아래의 두 곳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국민재난안전포털 홈페이지 “https://bit.ly/3vdgdtW” 바로가기
✌🏻‘안전디딤돌’ 앱
안드로이드용 : https://bit.ly/3NMZN1V

iOS용 : https://apple.co/41M6DdY

‘지진 옥외 대피소’는 운동장, 공원 등 낙하물로부터 안전한 넓은 외부 장소로 전국에 지정돼 있으니 생활 반경에서 가까운 곳으로 미리 파악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 지진 발생 시 취해야 할 행동 요령 및 대피 후 행동 요령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지진 상황에서 침착함을 유지하기란 쉽지 않겠지만, 평소에 지진이 났을 때의 상황을 떠올리며 행동 요령을 바탕으로 어떻게 행동할지 생각해 본다면 실제 상황에서 좀 더 안전하게 대비할 수 있습니다.
불안한 상상이 안전한 상식이 되는 길. 생활 속 지진 안전에 대비하세요!